블랙 코드

블랙 코드

블랙 코드의 스틸사진
감독
니콜라 드 펑시에
상영시간
89'
제작국가
캐나다
장르
다큐멘터리
출시년도 2016
색채
컬러
포맷
HD
화면비율
16:9
자막
Korean+English
배급

상영정보

정보인권-표현의 자유
해외 상영작
2017/06/01(목) 17:10
다목적홀
2017/06/04(일) 11:00
마로니에공원

시놉시스

당신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에는 비밀이 숨어있다. 이 영화는 토론토 대학의 시티즌 랩이 전 세계 정부기관의 정보인권 침해를 폭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달라이라마와 티베트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신 감시, 파키스탄 정부의 통신 서버 독점과 시리아 정부의 SNS 검열은 정부기관들이 어떻게 촘촘한 인터넷 공간 안에서 사람들의 정보를 훔쳐내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SNS를 통해서 독재를 폭로하고 정부의 폭력을 기록하는 사람들도 있다. 온라인에서의 정보인권과 오프라인에서의 인권 문제가 맞닿은 지금,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지킬 수 있을까? 네트워크기술로 사람들을 구속하고 통제하려는 ‘그들’과, 같은 기술로 ‘그들‘에게 맞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내려는 사람들의 이야기, 바로 <블랙 코드>다.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윤리

 

감독소개

니콜라 드 펑시에 사진

니콜라 드 펑시에

니콜라스 드 펑시에는 감독이자 프로듀서, 촬영감독이다. 다큐멘터리에서부터 공연, 극영화까지 작업하고 있다. 그는 머큐리 필름의 공동대표이기도 하다.

작품해설

최근 알려진 수많은 사건들은 통신기술의 발달이 편리하다는 것을 넘어 억압과 감시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보인권의 침해는 단순한 프라이버시의 침해가 아니다. 우리는 국가에 의한 정보인권 침해가 실질적이고 물리적인 인권침해로 이어지는 것을 목격해왔다. 감시와 통제를 통한 ‘표현의 자유’의 억압은, ‘신체의 자유’의 침해(체포), ‘신념의 자유’, ‘종교의 자유’에 대한 억압(고문, 추궁, 감시)으로 이어진다. 당신의 표현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는 것은 당신을 언제든 ‘불온한 존재’로 낙인 찍어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랙 코드>는 다양한 사건을 통해 이것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문제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영화는 ‘불온한’ 우리가 단순히 권력에 의한 피감시자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감시의 주체로 올라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시티즌 랩’은 정부의 해킹 프로그램을 해킹하고 1인 미디어 활동가들은 인터넷에 실시간으로 시위 영상을 공유하는 등 각자 다른 방식으로 정부권력을 감시한다. 통신기술은 우리를 불온하게 만들고 불온한 우리를 가둘 수도 있지만, 불온한 우리의 권리를 구하고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

인권해설

한때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공간은 자신을 표현하고, 서로 연대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래서 인터넷이 언론, 기업, 권력의 카르텔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의 새 공간을 열 수 있는, ‘전 세계 시민의 무기’가 될 것이라는 그런 믿음이었다. 2010년을 전후로 발생한 “아랍의 봄”은 그러한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우리에게도 그런 경험이 있다. 2002년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 추모 촛불집회는 대안 인터넷 언론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고, 2008년 미국 광우병 쇠고기 협상 반대 촛불집회에서는 다양한 시민 미디어가 꽃을 피웠다.

 

그러나 인터넷이 권력이 없는 시민들에게만 새로운 권력을 준 것은 아니었다. 인터넷은 거대한 정부의 관료 체제에도 새로운 권력을 허락했다. 비록 변화에 대한 대응은 늦었지만 그들이 인터넷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이해했을 때, 그 힘은 훨씬 더 막강해졌다. 아랍의 봄에 당황했던 권위주의 체제는 자신들을 한때 위협했던 인터넷을 오히려 통제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인터넷 대량 감시를 드러낸 ‘스노든의 폭로’는 이러한 불법적 감시 행태가 비단 독재 정부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해킹팀이나 감마와 같은, IT 업체들이 만들어 전 세계 정부기관에 공급하는 은밀한 해킹 감시 프로그램은 이미 국제적인 규제가 논의될 정도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 2015년, 한국에서도 국가정보원이 이탈리아 업체 해킹팀의 RCS라는 해킹 프로그램을 구매하여  활용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RCS는 감시 대상의 PC나 핸드폰을 악성 프로그램으로 감염시켜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뿐만 아니라 이메일과 SNS 등 인터넷 활용을 감시하고, 핸드폰의 카메라나 마이크를 원격으로 몰래 작동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신기술에 능한 일부 활동가들은 정부의 감시망을 뚫고 비판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 범죄자들이나 테러리스트 역시 정부의 감시망을 피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사이버 위협과 테러를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인터넷에 대한 감시를 한층 강화할 것이다. 그 사이에서 기술을 모르는 대다수의 인터넷 거주민들은 사이버 안전을 위해 정부의 감시를 수용할 것을 강요받게 된다. 보안학자 브루스 슈나이어는 이를 “디지털 봉건주의”라고 부른다.

 

시민들이 기술을 이해하고, 정부의 감시를 피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가 법과 정책의 차원에서 정부의 무분별한 사이버 감시를 통제할 수 없다면, 슈나이어가 지적했듯 우리는 봉건주의로, 하지만 더욱 촘촘한 감시의 촉수를 갖고 있는 군주의 시대로 회귀하는 것일지 모른다.

 

오병일 (정보인권연구소 이사)

 

스틸컷

블랙 코드 스틸컷1
블랙 코드 스틸컷2
블랙 코드 스틸컷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