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작품 Domestic Films

올 리브 올리브 스틸컷1
22회 상영작 한국 김태일, 주로미 다큐멘터리 6/02(금) 17:30 92'
위즈단 가족은 자신들의 올리브 농장에 가려면 통행증이 있어야 한다. 팔레스타인 사람으로 밭에서 수십 년간 농사를 지어왔지만, 이스라엘이 그곳을 점령한 이후로는 허가를 받아야만 들어갈 수 있는 땅이 되었다. 수개월을 기다려 통행증을 받아도 올리브 나무의 관리와 열매 수확까지 모든 농사일을 하는 데에 일 년에 며칠, 몇 시간만이 주어진다. 나날이 확대되는 이스라엘의 점령촌 건설로 위즈단을 비롯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농사는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난민...
이태원 스틸컷1
22회 상영작 한국 강유가람 다큐멘터리 6/02(금) 19:40 98'
이태원은 언제부터 ‘이태원’이었을까. 그리고 언제까지 ‘이태원’일 수 있을까. 놀러 가는 곳이 아닌 살아가는 곳으로서의 이태원에서 수십 년의 삶을 보낸 여성들이 있다. 1970년대 미군 대상의 유흥업소들이 생겨나면서 형성된 ‘후커힐’ 거리에서 젊은 날을 살아온 삼숙, 나키, 영희. 이들의 현재는 각자의 과거만큼이나 모두 다르다. 오늘의 이태원도 예전과는 분명 다르다. 삶은 단절 없이 계속되건만, 지난날과 오늘날의 공간에는 간극이 생겨버렸다....
피난 스틸컷1
22회 상영작 한국 섹알마문 극영화 6/04(일) 14:20, 6/03(토) 11:50 23'
자말은 시리아를 떠나 한국에 들어온 난민이다. 그는 또 다른 이주노동자인 라주와 함께 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자말의 난민 생활은 외롭다. 직장 동료의 딸 사진을, 시장에서 파는 아기 신발과 옷을 보면서 그는 연락이 닿지 않는 시리아의 가족들을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 자기 삶의 공간에서 떠나 새로운 곳에서 살고자 애쓰는 또 한 명의 외로운 사람이 있다. 순영은 한국전쟁 때 가족들과 헤어졌다. 뉴스에서 이산가족 상봉 관련 이야기가 나올 때면 순영은 모든...
망각과 기억2: 돌아 봄 스틸컷
22회 상영작 한국 안창규, 박수현, 박종필, 김환태, 김태일,주로미, 문성준 다큐멘터리 6/03(토) 18:30 198'
<망각과 기억2:돌아 봄>은 세월호 생존자와 유가족, 민간 잠수사, 그리고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려는 많은 이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가장 마지막에 ‘승선’해서 가장 마지막에 탈출했던 생존자의 목소리가 세월호 참사 당시의 장면을 그리고, 세월호 참사로 형제자매를 잃은 유가족의 이야기 ‘오늘은, 여기까지’가 세월호 특별법과 특조위 구성 과정을 짚어낸다. 민간 ‘잠수사’의 실종자 수색 활동은 진실의 인양과 관련한 첨예한 정치 대립을 보여준다....
우리는 오늘도 스틸컷1
22회 상영작 한국 김은석 다큐멘터리 6/03(토) 20:50, 6/04(일) 13:00 60'
“설마설마했다.”, “상식적인 게 지켜졌으면 좋겠다.” 그지없이 순박하다. 자본을 가진 자들은 감사납게 이 순박함을 파먹으며 배를 불려왔고 불리고 있다. 애초 사유화돼선 안 될 온갖 공공재와 정보를 틀어쥐고, 마치 자신들이 취득한 것처럼 휘두르며 그 속성을 드러내는 것에 거리낌이 없어 보인다. 참으로 죄악감을 지니고 있지 않은 듯하다. 그래서 더욱 흉측하다. <우리는 오늘도> 이 영화는 수십 년간 꾸려온 우리 삶의 터전과 일상이 어느 날...
스틸컷 1
21회 상영작 한국 박배일 다큐멘터리 5/26(목) 17:15 80'
부산의 막걸리 제조사 ‘생탁’의 노동자가 침묵을 깨고 나선 지 어느덧 2년이다. 그저 평범하게 하루하루 자신의 일을 하던 생탁의 노동자들. 그러나 차츰, 자신의 일들에 부당함이 녹아있었다는 걸 깨닫는다. 남의 것으로만 생각했던 붉은 투쟁의 조끼를 입고, 투쟁의 노래를 배워 부른다. 그들은 노동자 자신에 대한 부당한 처우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우롱하는 제조 과정에 대해서도 투쟁한다. 자신들의 일터를 정말로 아끼기에 지속 가능한 일터로 만들고자, 모두에게...
스틸컷 1
21회 상영작 한국 박배일 다큐멘터리 5/26(목) 17:15 80'
부산의 막걸리 제조사 ‘생탁’의 노동자가 침묵을 깨고 나선 지 어느덧 2년이다. 그저 평범하게 하루하루 자신의 일을 하던 생탁의 노동자들. 그러나 차츰, 자신의 일들에 부당함이 녹아있었다는 걸 깨닫는다. 남의 것으로만 생각했던 붉은 투쟁의 조끼를 입고, 투쟁의 노래를 배워 부른다. 그들은 노동자 자신에 대한 부당한 처우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우롱하는 제조 과정에 대해서도 투쟁한다. 자신들의 일터를 정말로 아끼기에 지속 가능한 일터로 만들고자, 모두에게...
스틸컷 1
21회 상영작 한국, 중국 궈커 다큐멘터리 5/27(금) 13:30 112'
<22(용기 있는 삶)>는 중국에 살고 있는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을 기록하며, 결코 담담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담담하게 풀어나간다. 제목은 2014년을 기준으로 생존해있는 중국 ‘위안부’ 피해자의 수 22명을 의미한다. 영화는 ‘위안부’로 끌려가야 했던 순간들, 그 기억들을 피해생존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려낸다. 목소리는 그때의 기억들을 다시 기록해내고 그 기록은 또다시 기억들을 짜 맞춘다. 그들이 살아온, 그리고 지금 살아가고 있는...
스틸컷 1
21회 상영작 한국, 중국 궈커 다큐멘터리 5/27(금) 13:30 112'
<22(용기 있는 삶)>는 중국에 살고 있는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을 기록하며, 결코 담담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담담하게 풀어나간다. 제목은 2014년을 기준으로 생존해있는 중국 ‘위안부’ 피해자의 수 22명을 의미한다. 영화는 ‘위안부’로 끌려가야 했던 순간들, 그 기억들을 피해생존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려낸다. 목소리는 그때의 기억들을 다시 기록해내고 그 기록은 또다시 기억들을 짜 맞춘다. 그들이 살아온, 그리고 지금 살아가고 있는...
스틸컷 1
21회 상영작 한국 경순 다큐멘터리 5/27(금) 15:55 120'
<레드마리아2>는 낙인에 도전하는 영화다. 이 영화가 불편하게 여겨졌다면, 그것은 이 영화가 우리가 가진 검열들에게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한국의 성노동자이면서 성노동자의 인권실태를 조사하는 ‘연희’는, 소위 창녀와 성녀의 이분법 아래에서는 감히 드러날 수 없었던 성노동자 여성들에 대한 기록을 시작한다. 자발적이어서, 혹은 성매매를 하던 여성이어서 침묵을 강요받아온 건 성노동자들만이 아니다. ‘군위안부’를 이야기함에 있어 어떤 여성들만이...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