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의 스틸사진
감독
수라비 샤르마 Surabhi Sharma
상영시간
49'
제작국가
인도
장르
다큐멘터리
출시년도 2013
색채
color
포맷
DVCAM
화면비율
자막
Korean+English
배급

상영정보

혐오에 저항하다
해외 상영작
2014/05/23(금) 15:30
마로니에공원(야외)
2014/05/24(토) 15:40
다목적홀(지하)

시놉시스

대리모의 자궁에서 자라고 있는 아이의 부모가 지불하는 위탁금에 대한 인터넷 화상 대화는 대리모의 환경을 덜 소외감을 느끼게 만들지 않는다. 여성들을 하찮은 존재로 만드는 이상한 환경에서 형성된 여성들의 재생산 노동은, 빠르게 팽창하는 재생산 산업의 주축이다. 의료 관광과 상업적 대리모 제도가 세계로 뻗어나가면서, 대리모 행위와 관계 병원들은 인도의 대도시와 작은 마을들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대리모가 되는 선택은 때때로 그러한 몸에 대한 사용에 대한 수치스러움에 직면하는 것으로서 발생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이들에게는 그들의 삶의 방식에 변화를 만드는 것을 통해 아이를 포기하는 임신에 대해 자기 이해를 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로 일어나는, 여성들의 노동의 중요성을 비가시화하거나 약화시키려는 노력은 종종 이러한 여성들이 그들의 삶에서 협상해야만 하는 잠재적으로 착취하는 조건들에 더해질 수 있다. 그것은 어떠한 통제도 없는 상황에서만 강력해지는 관심이다.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는 상업적 대리모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인도의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대리모, 의사, 행위자, 법률회사, 가족과 만난다.

감독소개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 감독 수라비 샤르마

수라비 샤르마 Surabhi Sharma

수라비 샤르마는 뭄바이에 있다. 뭄바이의 성 자비에 대학(St. Xavier's College)에서 인류학과 심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뿌네의 인도 방송영상 교육기관(Film and Television Institute of India, FTII)에서 영화제작을 공부했다. 그녀는 2001년에 그녀의 첫 영화, '자리 마리 Jari Mari'(2001)를 제작하고, '아마까르Amakaar'(2003)을 제작한다. 그 이후로 '재봉틀을 넘어Above the Din of Sewing Machines'(2004), '자하지 뮤직Jahaji Music'(2007), '임신, 처방, 규약Pregnancy, Prescription and Protocol'(2008), '한 대도시로부터 온 상표Label from a Global City'(2009) 등이 있다. 그녀의 영화는 세계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고, 상을 받았다. 그녀는 마즐리스 장학금(Majlis Fellowship)의 수여자이다. 그리고 문화연구논문 'Bidesia in Bombay'로 Puma Catalyst 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최근 인도의 도시 찬디가르에 대해 반추하는 '샛길 추적하기Tracing Bylanes''와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제도를 다룬 영화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Can we see the baby bump please?'를 완성했다.

인권해설

영화의 시작과 끝은 대리 출산을 의뢰한 이들과 대리모의 살가운 화상통화 장면이다. 의뢰인들은 대리모의 부른 배를 보며 경탄한다. 그녀가 편안하고 즐거운 생활을 하고 있기를 바라고, 가족들이 보고 싶다는 말에 안타까워하며 응원의 메시지를 보낸다. 서로의 호의로 가득한 두 번의 통화 장면은 영화의 처음과 끝에서 대비된다. 그 사이에 우리는 화상캠 시야 바깥의 사실들을 목격한다.

 

수요와 공급이 국경을 넘나드는 지구화된 시장에 상업화된 의료 영역도 들어와 있다. 낮은 가격으로 높은 기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세계'는 의료 관광의 주요 행선지가 되며, 영화의 배경인 인도는 특히 보조생식기술 분야의 국제적 중심지로 부상했다. 그리고 '불임클리닉'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대리모까지 제공하는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병원에 고용된 중개인들은 여성들에게 대리모가 되는 것을 설득한다. 공장 일만으로는 집세, 학비,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는 여성들은 대리모로 지원한다. 영화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따라가며, 이런 현실에서 인도 여성들의 삶에 '의료'가 어떤 얼굴로 개입하고 또 등을 돌리는지, 대리모 당사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영화가 다루고 있는 문제는 먼 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한국에도 '대리모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일까? 물론 그러하고, 그것은 중요한 진실이다. 한국 사회도 전 지구적 시장 경제의 일부다. 국내에서도 암암리에 대리모가 중개되지만, 일본에서 한국으로, 한국에서 중국으로, 난자 거래나 대리모 매매가 이루어진다. 일국의 규제로는 한계가 있고, 관련된 사안들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부족하다.

 

그러나 ‘무엇을 문제로 볼 것인가’를 보다 적극적으로 고민할 때, 영화의 메시지는 ‘대리모 문제’와 표면적으로 무관한 대다수 사람들의 코앞에 들이밀어진다. 가족의 유지와 국가의 재생산을 위한 ‘몸(자궁)’으로 존재해온 여성들. 의료의 '대상'이 되어 자기로부터 소외된 몸들. 특정 기술의 소비를 부추기기 위해 주류 규범을 강화하고 부작용을 축소 광고하는 의료 현실. 전제된 권력 구조는 은폐된 채 선택지란 미명으로 여성들에게 제시되는 어떤 실천들.

 

기술과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는 현실에 기반을 두고 생겨나며 발전한다. 그러한 '정치' 속에서 어떤 것은 강화되고 어떤 것은 보이지 않게 된다. 영화는 보이지 않게 된 것들에 대한 여성들의 증언이다. 그리고 화상캠 시야 바깥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진실들이 존재하듯이, 이 영화의 프레임 바깥에, 우리가 사는 일상생활 속에 이미 ‘대리모 문제’라는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여성 몸의 문제들이 존재한다.

제이(한국여성민우회 활동가)

 

 

스틸컷

뱃속 아기는 잘 자라고 있나요? 스틸컷1